728x90

세계심리학 필독서 30(사토 다쓰야) 5

어른의 공부가 진짜다

#Cognitivepsychologist, #developmentalpsychology, #psychology, #Mozart, #sayings, #aphorisms, #quotations, #development, #imitation, #LevSemenovichVygotsky #Vygotsky 발달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타인을 모방하고 내면화하면서 고차원의 정신 능력을 향상시키는 과정이다. -비고츠키 당신이 있어 저는 오늘 더 발전합니다. 당신에게서 저는 배웁니다. 당신의 좋은 모습을 닮아가고 싶습니다. 당신의 나쁜 점을 저는 배우지 않겠습니다. 내가 가지지 못한 것을 당신을 통해서 내면화하겠습니다. 저는 점점 더 발전하겠습니다. 비고츠키의 말을 들으니, 공자의 말이 생각납니다. 세사람이 길을 함께..

디자인이 사람의 마음에 끼치는 영향(환경이 심리에 미치는 영향)

난 요즘에 내 주변 환경을 다시 살펴보게 돼. 내 차, 내 방, 내 집, 집주변 거리, 내가 사는 의정부, 내가 출강하는 대학교, 뭐 그런 것들 말이야. 하차감이라고 하잖아. 내가 차에서 내리면서 느끼는 하차감, 어지러운 내 책상이 있는 내 서재에서 일하지 않고, 굳이 거실 쇼파 앞에 밥상을 펴고 그 위에 노트북을 올려서 일하는 거, 집 근처 골목에 차가 많이 다녀서 어수선해서 산책을 나가기 싫은데, 엄마집 아파트는 새 아파트라 차가 안 다녀서 고요히 산책을 할 수 있는 거, 수도권이 아니라 강남에 살면 내 마음은 또 어떤 영향을 받을까? 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게 되면서 겪는 새로운 경험, 최근 갑자기 차가 고속도로에 서서 거의 10년만에 지하철이나 버스로 다니면서 새롭게 경험한 것들... 참 나는 환경에..

긍정적인 결과는 더 긍정적인 행동을 부른다(내 다이어트, 홈트를 봐도)

난 어려서 엄마에게 칭찬을 많이 받았지. 칭찬을 받아서 기분이 좋았는지는 기억이 안나. 기분이 좋아서 좋은 일을 많이 하려고 노력했는지도 모르겠어. 확실히 그건 있었지. 좋은 일을 하는 것이 옳다는 것은 있었지. 옳다는 느낌보다는 따뜻한 느낌, 안전한 느낌, 지지받는 느낌 그런 느낌이 있었지. 그래서 난 더 착한 것에 몰두했던 거 같아. 그 덕에 일찍부터 도덕관념이 생겼던 건 좋은 점이었어. 근데 너무 일찍 그런 옳고 그름이 생기다 보니까 친구들을 비판하게 되더라구. 나는 착한데 너는 안착하다는 생각도 들고. 우월감도 생기고 말이야. 그건 친구를 사귀고 친구랑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또 마음을 터놓고 사귀는데 큰 방해가 되더라구. 그래서 친구랑 교감하는 걸 잘 못하게 됐지. 얼마전에는 중학생한테 강의를 ..

잘못 이미지화된 것들 바로잡아 잠재력 펼치기(대니얼 카너먼의 생각에 관한 생각)

대니얼 카너먼은 노벨상수상자이다. 인간의 의사결정이 합리적이지 않은 면이 제법 있음을 증명해 냈다. 사고과정을 거치지 않은 판단은 주로 직관에 의해 이루어진다. 사고과정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비합리적일 수 있다. 물론 합리적일 수도 있다. 직관이란? 사고하지 않고도 즉각 판단이 가능한 것이다. 떠올리는 것이 아니라 떠오르는 것이다. 직관은 다른 원천에 의해 얻지 못하는 인식을 설명하기 위해 고안된 개념이다. 감각, 경험, 연상, 판단, 추리 따위의 사유 작용을 거치지 아니하고 대상을 직접적으로 파악하는 작용이다. 우리는 일상에서 직관을 많이 사용한다. 자동화된 사고시스템 말이다. 생각하지 않고도 운전을 할 수 있고, 매번 젓가락질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고민하지 않아도 된다. 그런데 우리의 삶에서 이러한..

한순간의 능력을 침소봉대하는 내 마음의 착각. 상황에 따른 판단이 과연 정확한 판단일까?

인간이 행동할 때는 내면에 있는 선악의 본성에 따른다기보다 자신이 처한 상황에 영향을 받는다 -스탠리 밀그램- 행동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마음에서 시작되어 몸이 움직이는 것이다. 사람은 무엇에 자극을 받아 반응하여 몸을 움직여 동작을 하거나 어떤 일을 하는가? 마음은 자극을 주기고 하고, 외부의 자극을 받아들이기도 한다. 결국 우리의 행동은 마음에서 비롯된다. 상황에 대한 우리의 인식, 또는 자동화된 반응(무의식), 의지에서 우리의 행동이 시작된다. 그런데 우리의 마음이 처한 상황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심리학 연구결과가 있다. 바로 스탠리 밀그램의 권위에 대한 복종이라는 책에서 언급된 실험의 결과이다. 밀그램은 "징벌에 의한 학습 효과"라는 이름으로 위장한 실험에 참여할, 나이 20대 에서 50대 사이..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