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마음의법칙(폴커키츠) 7

안면 피드백 이론

정신건강에 중요한 일 3가지 1) 내면에 충실한다. 2) 느낌을 진솔하게 받아들인다. 3) 다른 사람을 존중한다. 1) 적극적으로 나의 감각을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바꾸어간다. 2) 적극적으로 나의 지각을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바꾸어간다. 3) 기쁨이 우리를 돕도록 만든다. 4) 인생을 그대로 받아들인다. 꾸밈이나 과장없이. 5) 이웃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준다. 6) 나 자신에게 집중한다. 나의 생각에 집중한다. 나의 느낌에 집중한다. 7) 웃음은 건강하다. 웃음으로 기분을 좋게 만들 수 있다. 입꼬리를 살짝 들어주면 된다. 8) 우리의 감정 체험은 얼굴 표정에 영향을 받는다. 9) 웃음, 친절함, 상냥함, 공손함, 존중은 나를 더 유익하게 한다.

비교의 덫

1) 사람들에게 절대적인 우위는 중요하지 않다. 2) 사람들에게는 상대적인 우위가 중요하다. 3) 가진 것에 자족하지 않고 더 많이 가진 사람과 비교하면 불행감을 느낀다. 4) 사람은 다른 사람과 비교하면서 자기 자신을 평가한다. 5) 나보다 못가진 사람과 나를 비교하면 자신이 가진 것에 감사함이 든다. 내생각: 성장형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은 다른 사람과 비교하지 않는다. 다른 사람이 성장할 수 있듯이 나 자신도 성장할 수 있다. 현재의 모습이 다가 아니고 더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모습에서, 타인과의 비교에서 나 자신을 평가하지 않는다. 이것이 대부분의 고정형 사고방식을 가진사람과의 차이이다.

점화효과

점화효과 빨간 사과를 보면 먹어도 되는 것이라고 떠올린다. 람부탄(열대과일)을 처음 본 사람은 먹어도 되는지 의문을 갖는다. 빨간 사과를 보고 그것이 무엇인지 고민하지 않는 것은 사람에게는 생각의 도식(프로세스)가 있기 때문이다. 1) 우리는 도식(프로세스)을 사용한다. 2) 도식은 빠른 대처를 가능하게 한다. 3) 상황을 다시 분석하는 수고를 줄인다. 4) 도식을 활성화하는 것을 점화효과라고 부른다. 5) 점화는 어떤 태도를 만들어내는 탁월한 방법이다. 내생각: 사람은 편견을 가진다. 선입견을 가진다. 편견, 선입견은 바꿀 수 있다. 다른 정보를 제공하면, 편견이 깨진다. 다른 정보를 제공하면, 선입견이 바뀐다. 책, 자기암시, 상상은 좋은 도구가 된다.

기본적 귀인 오류

기본적 귀인 오류 사람들은 보통 실패나 잘못을 했을 경우 그 탓을 외부로 돌리고 칭찬받을 일을 했을 경우에는 자신이 잘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내가 성공하면 ‘내 능력이 워낙 뛰어나기(내적 귀인) 때문’이고 타인이 성공하면 ‘운이 좋아서(외적 귀인)’라고 그 원인을 외부로 돌린다. 이런 경향은 현실을 정확히 알아보지 않고 취하는 일종의 선입견이기 때문이다. 반면 동양권 예를 들어 일본 사람들은 대개 사건이 상황 때문에 빚어졌다고 보고, 원인을 개인에게서 찾으려들지 않는다. 외부상황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벌어진 일임에도 성급하게 상대에게 책임을 묻지는 않았는지 점검해야 한다. -폴커키츠 1) 내가 실패한 것은 내가 부족해서이다. 또는 아직 더 성장할 것이 남았기 때문이다. 2) 내가 성공한 것은 내가 잘하..

습관화

습관화 자극에 노출되는 횟수가 잦아질수록, 반응은 점점 약해진다. 이런 과정은 빠른 속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습관화는 우리가 배움의 능력을 갖게 해주는 전제조건이다. 사람은 적응의 동물이다. 즐겁고 신나는 일도 시간이 지나면 익숙해진다. 더이상 즐겁지도 신나지도 않다. 짜증나고 지루한 일도 곧 익숙해진다. 더이상 짜증나지도 지루하지도 않다. 습관화를 이용하면 인생이 편안해진다. 기쁨은 새로운 것에서 더욱 커진다. 중간에 끊어졌다가 다시 시작할 때 더욱 커진다. 부담스러운 일은 새롭게 시작할 때마다 고통스럽다. 끝까지 밀어붙이면 다시 부담스러운 일을 겪지 않아도 된다. 즐겁고 신나는 일은 짧게 끊어서 하라. 지겨운 일은 단번에 끝내라. 범위빈도이론 심리학자 파두치는 큰 쾌락을 많이 경험하면 쾌락에 만족하..

리프레이밍 요약

안 좋은 기분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자. 안 좋은 감정을 긍정적으로 수용하자. 부정적인 생각의 악순환에 빠지지 말자. 프레임이란 사고방식의 틀이다. 감정을 느끼는 틀이다. 리프레이밍은 틀을 새롭게 하는 것이다. 다른 관점에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일상의 사건과 상황과 상황은 경험한 그대로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경험한 것을 해석하는 생각이나 느낌은 나 스스로 변화시킬 수 있다. 리프레이밍은 정신건강에 좋다. 떠오르는 생각과 감정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마음이 진정되면 마음을 분석하고, 그리고 나중에는 재해석하자. 신경언어학프로그램(NLP)에서 효과가 검증된 것이 리프레이밍이다. 나는 할 수 없어라는 생각이 들면, 아직은 나는 할 수 없어. 나중에는 할 수 있어. 세상은 나에게 왜 이럴까라는 생각이..

감정사용법

사람은 나이를 먹을수록 나 자신과 멀어진다. 내 감정에 둔감해진다. 가짜감정으로 무장한다. 내 느낌이 아니라 주변사람들에 대한 판단을 느낌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진짜 감정은 내 마음 안에 있다. 가짜감정: 너 나 안 좋아하는 것 같은데? 진짜감정: 나는 슬프고, 비참하고, 무기력하고 우울해. 진솔한 감정을 이야기하라. 그래야 내 감정을 다스릴 수 있다. 내 감정은 내가 통제할 수 있다. 감정을 억누르지 말라. 내 감정을 있는 그대로 감지하고, 원인을 찾아보고, 인격의 일부로 받아들이라. 감정을 몰아내래고만 하면 무의식에 잠재되어 우리를 병들게 한다. 감정을 좋고 나쁨으로 양분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받아들이고 감정에 충실하게 살아가라. 사회가 요구하는대로가 아니라, 나 자신으로 살아가라. 마찬가..

728x90